날씨가 많이 따듯해져서 많은 분들이 세차하기 좋은 때인데요 셀프로 세차 하는 습관중 차를 망가트리는 잘못된 습관이 있습니다.
내차를 망가뜨리는 세차할때 잘못 된 습관들을 알아보겠습니다.
뜨거운 차체와 휠에 물 뿌리기
주행중에는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수시로 브레이크를 밟게 되고 내리막길을 내려가 거나 코너를 돌 때는 순간 자주 밟게 되는데 가끔 브레이크를 밟을때, 스티어링 휠이 떨리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디스크가 변형이 일어 났기 때문입니다.

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바퀴와 함께 돌아가는 원판 즉, 디스크를 브레이크 패드로 꽉 잡아서 멈추는 원리입니다.
고속으로 회전하는 디스크를 꽉 붙잡게 되면 이 때, 마찰이 생기게 되고 온도가 800도 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렇게 뜨겁게 달아오른 디스크에 갑자기 차가운 물을 뿌리게 되면
온도차에 의해서 급격하게 식게 되고 금속인 디스크에 변형이 와서 주행 시 평소와 다른 떨림 현상이 오게 됩니다.
차체 역시 손만 대도 뜨겁게 느껴질 만큼 데어진 상태에서 바로 물 뿌리게 되면 물기가 빨리 증발 되게 되고 그 사이 씻기지 못한 샴푸와 오염물질이 말라서

차체의 달라붙게 되고 오히려 도장면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세차를 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상태에서 곧바로 물을 뿌리기 보다는
그늘에서 후드를 열어 놓고 일정 시간 대기시간 을 갖고 기다렸다가 휠이나 차체가 어느정도 식은 후에 세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.
잘못된 방법으로 초벌 물 뿌리기
세차장에서 가장 먼저 하게되는 물뿌리기를 잘못 해서 도장면에 심각한 손상을 주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,
자동차에도 도장면은 흙, 미세먼지, 철분, 타르 등 각종 오염물이 묻어 있게 되는데 처음에 처벌 물 뿌리기 작업이 제대로 되어야만 완벽한 세차를 할 수 있게 됩니다.

물이 제대로 뿌려지지 않은 상태로 차의 도장면을 닦게 되면 남아있는 각종 오염물이 쓸리게 되고 스크레치를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.
물을 뿌릴 때는 위에서 아래로 뿌려서 각종 오염물이 아래 쪽으로 씻겨 내려 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.

특히, 범퍼 하단 이나 스테프 하단에 오염물이 집중도 묻어 있기 때문에 하단 쪽을 좀 더 신경써서 뿌려 주는게 좋습니다.
캬샴푸로 닦은 후, 물을 뿌릴때도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로 뿌려주고 문과 트렁크 등 각종 틈새에 오염물이 남아있지 않도록 꼼꼼히 뿌려주어야 합니다.
세차 후 제거 안된 물기
셀프 세차를 하거나 자동 세차를 한 후에 물기 제거를 대충 하고 출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차를 망가뜨리는 잘못된 방법입니다.

대부분 셀프 세차장이나 자동 세차장의 경우는 일반 손 세차와 다르게 지하수를 사용하는 곳이 많은데
지하수는 강판의 부식을 빠르게 촉진시키고 유리나 도장면에서 햇볕이나 열에 의해서 자연 건조가 될경우, 잘 지워지지 않는 위에 물때 자국과 도장면의 워터 스팟을 남기게 되서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게 됩니다
그렇기 때문에 물기를 제거할 때도 3단계 과정을 지켜서 하면 좋습니다.
첫 번째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물기를 제거한 드라잉 타월을 사용하고
두 번째는 물틈이나 도어 틈 등에 있는 물기를 에어건을 통해서 제거합니다.
세 번째는 남은물기를 타월로 닦아내서 끝내면 됩니다.
-출처 : 차업차득 – 동영상 보러가기